서울경제진흥원(SBA)은 4월 17일 서울창업허브 창동에서 '2025년 초격차 개방형 혁신 킥 오프 데이'를 개최했다. 이 행사에서는 대·중견기업과 스타트업 간의 혁신적인 협력을 통한 오픈 이노베이션의 발전형인 '초격차 개방형 혁신'을 선보였다. SBA는 향후 이 프로그램을 통해 서울시의 스타트업 생태계를 더욱 발전시키겠다는 계획을 밝혔다.
초격차 개방형 혁신의 이점
초격차 개방형 혁신 킥 오프 데이는 대·중견기업과 스타트업의 협업을 통해 혁신을 이끌어내는 중요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. 이러한 혁신의 핵심은 바로 자원과 아이디어의 융합이다. 대·중견기업은 스타트업의 창의적 아이디어와 그 실행력을 활용하여 자신들의 시장 우위를 강화할 수 있으며, 스타트업은 대기업의 경험과 자원을 통해 사업을 더욱 빠르게 성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. 2024년에는 이미 61개 대기업이 참여해 563개의 스타트업을 발굴하였다. 이는 매년 증가하는 제휴사 수치로, 서울특별시가 유니콘 스타트업을 배출하며 세계 스타트업 생태계 5위 도시로 발전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. 이러한 흐름은 초격차 개방형 혁신 프로그램이 명실공히 한 단계 진화한 오픈 이노베이션으로 확고히 자리 잡았음을 보여준다. 초격차 개방형 혁신에 포함되는 주요 기술 분야도 주목할 만하다. 양자 기술, 사이버 보안, AI, 바이오 및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스타트업이 기업과 협력하여 새로운 기술 경쟁력을 창출하는 것을 통해 그들은 세계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.협력의 장으로서의 역할
이번 킥 오프 데이에서는 대·중견기업과 스타트업 간의 실무 협의체인 S.O.A 200이 형성되었음을 알렸다. 이 협의체는 스타트업의 사업과 기술을 더욱 고도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, 연구실과 자금, 그리고 공동 연구 기회를 통해 협력을 이끌어 간다. LG전자와 퀄컴 등 대기업도 이러한 협업에 참여하여, 각 분야의 스타트업을 선발하고 그들과 함께 성장할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. 특히 LG전자는 온 디바이스 AI 챌린지와 같은 행사에 참여하여 스마트홈 AI 솔루션과 함께 개발할 스타트업을 선정하였다. 이 과정에서 대기업들은 스타트업의 기술 수요에 맞춰끔 연구 과제를 설정하고, 있는 그대로의 기술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진정한 협력의 모델을 만들어 내고 있다. 협력의 장으로서 초격차 개방형 혁신의 플랫폼은 미래 모빌리티, 로봇, 에너지 및 AI를 비롯한 여러 부문에서 다양하게 확장되고 있다. 이러한 부문들은 현대건설, 포스코홀딩스, 카카오모빌리티 등 주요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도전을 하는 스타트업에게 고민과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.성과와 앞으로의 비전
SBA는 초격차 개방형 혁신의 일환으로 이노웨이브 프로세스를 통해 동반 성장의 중요한 기회를 지향하고 있다. 또한, 서울형 R&D 지원 사업을 통해 기업 성장과 세계화에도 기여할 예정이다. 이러한 사업은 스타트업에게 자금 지원 및 사업화 지원을 제공하며, 해외 규격 인증과 공공 조달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. 결국, 초격차 개방형 혁신은 대·중견기업과 스타트업 모두에게 공생적인 협력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 셈이다. SBA는 이러한 노력을 통해 앞으로도 바이오 헬스케어, 인공지능, 양자 기술, 로봇 분야 등 다양한 초격차 스타트업의 성장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. 김종우 SBA 창업본부 본부장은 "이번 킥 오프 데이는 서울특별시와 다양한 기관들이 협력해 초격차 개방형 혁신을 시작한 의미있는 자리다. 많은 스타트업이 이 생태계에 참여하여 함께 성장하길 바란다."라고 포부를 밝혔다.초격차 개방형 혁신 킥 오프 데이를 통해 문을 연 새로운 혁신의 장은 앞으로의 기술 개발과 스타트업 성장에 큰 가능성을 보여준다. 각 기업은 참여를 통해 더 많은 아이디어를 공유하고, 함께 발전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길 기대한다. 앞으로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스타트업과 기업들은 서로 협력하여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데 기여할 것이며, 이로 인해 한국의 창업 생태계가 더욱 풍요로워질 것으로 보인다.